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생애와 이론 1. 생애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1953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는 유대계 출신으로, 아버지는 피아노 조율사였고 어머니는 교사였습니다. 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였으며, 그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폴 크루그먼은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그는 200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경제학 이론과 국제경제학, 정치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글쓰기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언론매체에서 경제학 전문가로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2. 이론과 업적 폴 크루그먼의 이론과 업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폴 크루그먼은 비결정론적 모형의 개발로 유명합니다. 이는 불확실성과 불완전한 .. 2023. 4. 12.
제도학파 신제도학파 행동경제학 소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학의 제도학파와 신제도학파, 행동경제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제도학파(Institutionalism) 제도학파는 경제학 이론 중 하나로, 경제 활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경제 제도와 기관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학파는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 사이에 위치하며, 미국의 인스턴 대학교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발전하였습니다. 제도학파는 경제학 이론을 인간의 행동과 선택에서 벗어나 경제 제도와 기관의 구조와 역할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들은 경제활동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시장 가격 및 개인의 이해력보다는 기업, 단체, 법률, 정책, 규제, 제도 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들은 인간의 행동이 무엇보다도 경제 제도와 인센티브, 기관 등이 촉진하는 경향.. 2023. 4. 12.
시카고학파 통화주의와 새고전주의 소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학의 시카고학파와 통화주의, 새고전주의 학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시카고학파(Chicago School) 시카고학파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에서 발전한 경제학 학파로, 자유주의적인 경제학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 학파는 1940년대 이후 미국 경제학계에서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과 조지 스티글러(George Stigler)를 대표적인 인물로 삼고 있습니다. 시카고학파는 자유시장이 경제 발전의 핵심이라는 전제 아래,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선택과 경쟁을 존중하는 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제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카고학파는 또한 .. 2023. 4. 12.
고전학파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소개 저번 포스팅에서는 경제학의 정의와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학의 학파 중에서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 그리고 케인스주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전학파(Classical School of Economics) 고전학파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유럽에서 대두된 경제학의 학파 중 하나입니다. 이 학파는 자유시장 경제와 경제 활동의 자율성, 개인의 이기심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를 바탕으로 균형적인 경제 성장을 추구했습니다. 고전학파는 3명의 대표적인 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토머스 멀서에 의해 대표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자유시장 경제를 옹호하며, 자유시장 경제가 경제적 자유와 개인의 이기심을 균형 있게 조화시키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2023. 4. 12.